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유대인

(3)
다윗 왕의 반지 (이 또한 지나가리라) 다윗 왕의 반지 --------------------------------- 어느 날 다윗 왕이 궁중의 세공인에게 명령했다. "나를 위한 아름다운 반지를 하나 만들라. 반지에는 내가 큰 승리를 거둬 기쁨을 억제치 못할 때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를 새기도록 하라. 하지만 또한 내가 큰 절망에 빠졌을 때 용기를 함께 줄 수 있는 글귀여야 하느니라." 세공인은 명령대로 아름다운 반지를 만들었지만, 고민에 빠지고 말았다. 고민하던 그는 지혜롭다는 솔로몬 왕자에게 찾아가서 도움을 청했다. 솔로몬 왕자가 말했다. "이 글귀를 넣으세요. 승리에 도취한 순간에 왕이 그 글을 보면 자만심은 곧 가라앉을 것이고, 동시에 왕이 절망 중에 그 글을 보게 되면 이내 큰 용기를 얻을 것입니다." 그 글은 다음과 같았다. "..
질문하라. 너는 성장할 것이다. 질문하라. 유대인의 교육법이란 책을 읽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세계의 리더 민족이라는 유대인들의 교육법을 정리해서 쉽게 요약해 놓은 책이다. 그 중에 기억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이들이 학교에 갈 때 문 앞에서 어머니들의 하는 말은 '선생님 말씀 잘 들어라'라고 한다. 나도 여태껏 자라오면서 제일 많이 들어봤던 이야기이며, 많은 사람들이 모두 공감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유대인들은 우리와 다르다. 유대인들은 아이가 학교에 갈 때 항상 하는 말은 '선생님께 질문하라'라고 한다. 우리가 아이들을 양육하는 것과는 첫 시작부터가 다르다. 우리는 그냥 선생님 말씀을 잘 듣고만 있으면, 모범생이고 공부를 잘하는 것이고 만족하는 학생이지만, 유대인들은 그 들은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할..
실패하라 당신은인생에 있어서 실패나 실수한 경험이 있으신지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실수나 실패가 떠오르지 않다거나 아예 없다면 당신은 아직 태어난 지 몇 일 밖에 되지 않은 아이임이 분명합니다. 아니면 죽은 분이기도 하겠네요. 그들 외에 실수하지 않는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절대로 말입니다. 실수를 하지 않은 사람은 새로운 것을 전혀 시도하지 않은 사람이다. - 아인슈타인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하고 실패를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얼마나 많이 실수와 실패를 하셨습니까? 그리고 그 실수를 통해서 어떤 삶을 살고 계십니까? 실수가 반면교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었습니까? 아니면 그냥 지나치는 일들 중에 하나로 업신여겼습니까? 작은 실수를 에피소드라고 해서 이야기 거리로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 있기도 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