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비 설교

길을 만드시는 하나님

728x90
반응형
SMALL

길을 만드시는 하나님

사무엘상 29장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2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수백 명씩 수천 명씩 인솔하여 나아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아가더니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이스라엘 왕 사울의 신하 다윗이 아니냐 그가 나와 함께 있은 지 여러 날 여러 해로되 그가 망명하여 온 날부터 오늘까지 내가 그의 허물을 보지 못하였노라

4 블레셋 사람의 방백들이 그에게 노한지라 블레셋 방백들이 그에게 이르되 이 사람을 돌려보내어 왕이 그에게 정하신 그 처소로 가게 하소서 그는 우리와 함께 싸움에 내려가지 못하리니 그가 전장에서 우리의 대적이 될까 하나이다 그가 무엇으로 그 주와 다시 화합하리이까 이 사람들의 머리로 하지 아니하겠나이까

5 그들이 춤추며 노래하여 이르되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하던 그 다윗이 아니니이까 하니

6 아기스가 다윗을 불러 그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네가 정직하여 내게 온 날부터 오늘까지 네게 악이 있음을 보지 못하였으니 나와 함께 진중에 출입하는 것이 내 생각에는 좋으나 수령들이 너를 좋아하지 아니하니

7 그러므로 이제 너는 평안히 돌아가서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에게 거슬러 보이게 하지 말라 하니라

8 다윗이 아기스에게 이르되 내가 무엇을 하였나이까 내가 당신 앞에 오늘까지 있는 동안에 당신이 종에게서 무엇을 보셨기에 내가 가서 내 주 왕의 원수와 싸우지 못하게 하시나이까 하니

9 아기스가 다윗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네가 내 목전에 하나님의 전령 같이 선한 것을 내가 아나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은 말하기를 그가 우리와 함께 전장에 올라가지 못하리라 하니

10 그런즉 너는 너와 함께 온 네 주의 신하들과 더불어 새벽에 일어나라 너희는 새벽에 일어나서 밝거든 곧 떠나라 하니라

옛날 중국 만리장성의 변방에 한 노인이 살았어요.
사람들은 이 노인을 ‘새옹’이라고 불렀습니다. 어느 날, 새옹의 애지중지 키우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 버렸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이 소식을 듣고 아쉬워하며 새옹이라는 노인에게 말했어요.

“어쩜, 좋아요. 그렇게 애지중지 키웠던 좋은 말이 달아나 버렸으니. 참 안됐어요”

그러나 노인은 그들의 말에 걱정하기는 커녕 태연하게 말했습니다.

“이번에 이 일이 좋은 일이 될지 누가 알겠소.”


얼마 후, 노인의 말이 마을로 다시 돌아왔는데, 오랑캐 땅에서 자란 엄청 뛰어난 말을 데리고 돌아온 거에요. 마을 사람들은 노인에게 다시 축하의 말을 건넸어요.

“어르신 축하드립니다. 이렇게 좋은 말이 짝을 데리고 왔네요. 좋은 일입니다. 축하드려요.”

하지만 노인은 또 말했어요.

“이 일이 화가 될지 누가 알겠소?”


며칠 후 노인의 아들이 오랑캐의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를 다치게 되었어요. 다리를 절게 되어 장애인이 된 아들을 보면서 마을 사람들은 노인을 위로했고, 또 노인은 여전히 태연하게 말했어요.

“누가 알겠소, 이 일이 좋은 일이 될지.”


1년이 흐른 어느 날. 

이 마을에 오랑캐가 쳐들어온 거야. 마을에 있는 남자들이 다 징집되었고 오랑캐와 싸우다 모두 죽고 말았어요. 하지만 노인의 아들만은 살아남았답니다. 

말에서 떨어진 후 절름발이가 되었기 때문에 싸움에 나갈 수 없었던 거에요.


이런 이야기를 사자성어로 새옹지마라고 합니다.

저는 이 새옹지마에 대해서 성경적 해석을 덧붙이고 싶습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좋은 일이든 안 좋은 일이든 모든 일은 하나님께서 계획하시고 우리를 통해 이루신다. 그 좋다는 것과 안 좋다는 것도 내 기준일 뿐입니다.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 앞에 하루하루 잘 살아가야 합니다.


다윗은 사울을 두번이나 죽일 기회가 있었음에도 죽이지 않고 사울을 살려주면서 하나님이 기름부은 사람을 함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사울에게 알려주었습니다. 그렇게 두 번이나 자신을 살려준 것에 고마워했던 사울이 다윗을 자신의 아들이라면서 축복하고 떠났다는 것은 지난 여러번의 설교를 통해서 알고 있을 겁니다.

그렇게 죽을 뻔한 상황이었음에도 자신을 살려줬던 다윗인데, 은혜에 보답하기는 커녕 사울은 마지막까지 다윗을 죽이기 위해서 혈안이 되어 쫓아다닙니다. 


그렇게 끝까지 쫓기고 쫓긴 다윗이 마지막에 어디로 숨었냐면, 이스라엘과는 앙숙인 블레셋이라는 나라에 망명을 합니다. 하도 못살게 굴고 어디든 쫓아와서 죽이려고 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블레셋을 선택한 다윗이었습니다. 

 

사무엘상 29장은 블레셋에 망명한 다윗이 시글락이라는 데서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블레셋의 가드왕 보호아래 망명 생활을 한 지가 1년 7개월이 됐습니다.

그 안에서 잘 살고 있었는데 갑자기 이 블레셋에서 전쟁이 발생했어요. 근데 하필 그 전쟁 상대가 어디일까요? 맞아요. 바로 사울이 왕으로 있는 이스라엘입니다.

이 블레셋과 이스라엘은 참 오랜 역사 속에 앙숙이었습니다. 우리가 일본과 중국을 그렇게 생각하는 것처럼 이스라엘도 앙숙 관계의 나라들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죄를 짓거나 하나님 앞에 잘못하게 될 때마다 블레셋을 통해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징계하셨습니다. 

 

1 블레셋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군대를 아벡에 모았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스르엘에 있는 샘 곁에 진 쳤더라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은 자신의 군대를 직접 인솔하여 나가고 다윗과 그의 사람들은 아기스와 함께 그 뒤에서 나갔습니다. 망명객 다윗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블레셋과 함께 이스라엘 조국의 군대와 전쟁을 하기 위해서 지금 전쟁터에 나가게 되는 겁니다. 사울 때문에 쫓기고 쫓기다 블레셋의 망명객이 되었는데 지금 블레셋과 이스라엘에 전쟁이 일어난 겁니다. 

 

블레셋이 이스라엘과 전쟁을 하러 가는데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따라 나설 수밖에 없는 다윗의 마음이 전해집니다. 가기는 싫은데 안 갈 수는 없고, 도망 가자니 막상 갈 데가 없고 자신을 따르는 군대는 책임을 져야하고 참 막막한 상황에 놓인 다윗을 보면서 고민이 느껴집니다.

 

다윗의 이런 근심의 마음과는 다르게 블레셋의 가드왕 아기스는 이 다윗을 철저히 믿었습니다.

 

다윗. 이 사람은 절대 나를 배반할 사람이 아니다. 그러면서 많이 아낍니다. 그만큼 신뢰가 쌓인거죠. 그 신뢰를 얻기 위해서 다윗도 많이 노력을 했을 거에요. 오갈데 없는 다윗을 보호해주고 신뢰를 보낸 아기스왕에게 다윗도 마음 다해 최선을 다했던 것이라 생각합니다. 

 

블레셋이라는 나라는 다섯 개 부족이 모여서 하나의 연합체를 이루고 있었어요. 미국이 50개 주가 연방으로 한 나라를 이루고 있는 것과 같은 형태라고 보면 됩니다. 

다윗은 그 블레셋의 가드왕 아기스에게 망명객 생활을 시글락이라는 곳에서 하고 있었습니다. 

3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이 이르되 이 히브리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느냐 하니 아기스가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에게 이르되 이는 이스라엘 왕 사울의 신하 다윗이 아니냐 그가 나와 함께 있은 지 여러 날 여러 해로되 그가 망명하여 온 날부터 오늘까지 내가 그의 허물을 보지 못하였노라

블레셋 네개의 방백이 가드 왕 아기스를 제외하고는 이 다윗을 탐탁치 않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들의 발언에 아기스 왕이  다윗을 보증을 하는 겁니다.

“형제들 걱정하지 마시게나. 내가 다윗과 여러 날 함께 해봤는데 이 사람은 완전히 우리 쪽으로 확실하게 넘어온 사람이니까 안심하시게. 내가 다윗을 보증할테니 같이 갑시다.”

 

그런 보증도 소용이 없었어요. 아기스는 다윗에 대해서 믿을만한 사람이라면서 안심을 시키는데 나머지 방백은 그 말을 믿지도 않고 안심을 하지 못합니다.


4 블레셋 사람의 방백들이 그에게 노한지라 블레셋 방백들이 그에게 이르되 이 사람을 돌려보내어 왕이 그에게 정하신 그 처소로 가게 하소서 그는 우리와 함께 싸움에 내려가지 못하리니 그가 전장에서 우리의 대적이 될까 하나이다 그가 무엇으로 그 주와 다시 화합하리이까 이 사람들의 머리로 하지 아니하겠나이까

5 그들이 춤추며 노래하여 이르되 사울이 죽인 자는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로다 하던 그 다윗이 아니니이까 하니


“만약에 다윗이 전쟁에 나가서 그가 딴 마음을 먹고 말머리를 돌려서 우리를 향하여 칼을 빼들면 우리는 방심한채로 죽습니다. 절대 안 됩니다. 만약에 이 사람이 우리 병사들의 목을 사울에게 갖다 바치면 그때는 어떻게 하겠습니까. 그리고 우리가 이 사람에 대해서 그 민족들이 부르던 노래도 알고 있습니다.”

 

그 자가 지금 아무리 아기스 밑에서 망명객 신세가 되었다고 해도 우리는 그를 믿을 수 없다. 

그가 비록 적은 병력이기는 하지만 후방에서 우리를 따라오다가 우리를 뒤에서 습격을 하면 우리는 꼼짝 못하니 안 됩니다. 절대 못 갑니다. 아기스 왕이 아무리 다른 사람들을 설득을 해도 안 돼요.


6 아기스가 다윗을 불러 그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네가 정직하여 내게 온 날부터 오늘까지 네게 악이 있음을 보지 못하였으니 나와 함께 진중에 출입하는 것이 내 생각에는 좋으나 수령들이 너를 좋아하지 아니하니

7 그러므로 이제 너는 평안히 돌아가서 블레셋 사람들의 수령들에게 거슬러 보이게 하지 말라 하니라


다윗의 대단함을 다시 보게 됩니다. 아기스 왕이 그를 완전히 신뢰하고 다른 사람 앞에서 다윗을 보증하는 것을 보면서 다윗이 아기스에게 얼마나 정직하고 신뢰를 주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여러분도 다윗처럼 어디에서든지 사람들에게 신뢰를 주는 사람이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정직하게 최선을 다하는 다윗을 보면서 아기스는 그를 완전하게 신뢰했습니다. 

 

다윗은 가드왕 아기스의 망명객이고 그를 도와야 하는 입장이었어요. 블레셋이 이스라엘과 전쟁을 치른다고 생각해 보면 이럴수도 저럴수도 없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조국 이스라엘에서 앞으로 왕이 될 것이라고 하나님께서 기름부어 주셨고 앞으로 자기가 왕이 되어 이스라엘 백성을 다스려야 하는 다윗이었습니다.

만약 전쟁에 참여한다면 이스라엘 백성들과 적이 되어 전쟁을 벌이게 생겼고 안 나서자니 블레셋 사람들이 의심을 해서 자신의 처지가 위험에 빠지게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전쟁에 참여하면 조국의 배신자가 되고, 도망가서 빠지자니 은혜를 모르는 사람이 되고 참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사자성어로 이야기한다면 진퇴양난이라고 합니다.  

 

진퇴양난(進退兩難)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여러분이 만약에 다윗 같은 입장에 던져졌다면 지금 마음이 어떻겠어요. 오늘 성경을 보니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어쩔수 없이 따라가야 했던 전쟁에서 의견을 내거나 집에가겠다고 말하지 않았는데 전쟁에서 자유롭게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어요. 이 상황에 자기가 한 일이 하나도 없습니다. 

 

이게 자기가 의도한 겁니까 아니에요. 블레셋의 방백들이 다윗과 그의 군대를 반대를 했기 때문에 자동으로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속 마음으로는 걱정이 태산이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때문에 고민이 되었을 텐데, 너무나 쉽고 간단하게 해결되었다는 겁니다. 


8 다윗이 아기스에게 이르되 내가 무엇을 하였나이까 내가 당신 앞에 오늘까지 있는 동안에 당신이 종에게서 무엇을 보셨기에 내가 가서 내 주 왕의 원수와 싸우지 못하게 하시나이까 하니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연기를 한거죠. 

“아니 형님 내가 뭘 잘못했고 형님 원수랑 싸우러 가려는 것을 못하게 합니까? 이거 많이 억울합니다.” 

다윗이 연기파에요. 그런 다윗의 연기에 아기스가 대답합니다. 


9 아기스가 다윗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네가 내 목전에 하나님의 전령 같이 선한 것을 내가 아나 블레셋 사람들의 방백들은 말하기를 그가 우리와 함께 전장에 올라가지 못하리라 하니


“네 마음 다 안다. 네가 그동안 나한테 한 거 하나님께 한 것처럼 성실하게 섬긴거 다 안다. 그런데 오늘 함께 전쟁해야 하는 다른 방백들이 안된다니 어쩌겠냐. 미안하다.”

엉덩이 툭툭 쳐 주면서 달래는 거에요. 참 신기합니다.


10 그런즉 너는 너와 함께 온 네 주의 신하들과 더불어 새벽에 일어나라 너희는 새벽에 일어나서 밝거든 곧 떠나라 하니라


그렇게 다윗은 밤새워 고민될만한 힘든 앞뒤가 꽉 막힌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손하나 까딱하지 않고 해결이 되었습니다. 누가하셨을까요? 네. 바로 하나님께서 다윗을 위험에서 막아주셨고, 사울이 이 전쟁에서 죽는데 다윗이 그곳에 첨여하는 것을 막아주십니다. 블레셋 방백들을 통해서 다윗을 전쟁터에서 건져내셨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이 선택한 사람입니다. 그 다윗을 하나님은 어디서든지 건져내시고 길이 없는 곳에서는 길을 만드셨고 이끌어주셨습니다. 다윗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자신은 이스라엘의 왕이 될 사람이고 이스라엘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제대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면 우리의 정체성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사람들입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베드로전서 2 : 9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 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 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이것이 바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정체성입니다.

 

내가 누구인지 잘 알고,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잘 아는 자는 인생에서 방황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우리가 신앙생활을 할 때 이렇게 사면초가, 진퇴양난이 될 때가 분명하게 있습니다. 

그런 고민되는 시간, 고통의 시간, 염려의 시간들이 쌓이면서 근심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요?

그럴 때마다 하나님께 맡기고 깊은 기도를 드리게 되면 하나님께서는 반드시 여러분에게 응답해주시고 길이 없는 곳에서 길을 만들어 주시는 분이십니다.

 

하나님이 오늘 우리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진퇴양난의 어려움 가운데서도 길이 없는 곳에서도 사랑하는 너희를 위하여 피할 길을 내는 나 여호와를 신뢰하고 기도하라. 

항상 피할 길을 내시는 분이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는 그분을 신뢰하고 믿음의 고백을 하는 자녀로 그리스도인으로의 정체성을 가지고 예수님 앞에 선포하며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질문.
1. 다윗은 어느 나라에 망명하고 있었습니까? 블레셋

2.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진퇴양난

3. 다윗의 어려운 상황은 어떻게 해결되었습니까? 블레셋 방백들이 다윗의 전쟁 참여를 반대했다.

4. 다윗은 자신이 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이라는 정체성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요? 우리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고백을 당당하게 선포하는 사람들입니다.
5. 다윗은 아기스 왕에게 정직함으로 신뢰를 받았습니다. 나는 정직하게 살고 있나요? 안 그렇다면 어떤 부분이 정직해야 할까요?

 

반응형
LIST

'선비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한 사마리아인  (4) 2023.02.14
사울의 죽음  (0) 2023.02.07
지혜로운 자 vs 어리석은 자  (1) 2023.01.17
신앙은  (0) 2023.01.12
고백하라  (2) 2023.01.10